본문 바로가기
내가 본 영화

오징어게임

by pinike 2021. 9. 27.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드라마 오징어게임을 봤다.
서바이벌 스릴러 장르이고 총 편수는 9부작이며 이정재가 주연이다.
드라마는 길어서 잘 안보게 되는데 워낙 요즘 화제여서 봐놓지 않으면 인터넷 밈을 즐기기가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에 찾게 되었다.
이미 올려진 수많은 게시물들에서 이 드라마를 다뤘기 때문에 굳이 줄거리나 특별한 점 등을 언급하는 것은 큰 의미없어 보일 것 같고 그저 개인적인 감상평만 남긴다면 한국 드라마에 워낙 기대가 없는 탓에 크게 대단치 않을 꺼라는 생각이 앞섰지만 이 정도 화제이면 뭔가 다르지않을까 하는 작은 바람을 가졌고 막상 보니 생각했던 것 보다는 시시했지만 그래도 한국 드라마치고는 이만하면 완성도가 좋았고 비주얼과 연출도 나쁘지 않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고 당연히 대기업의 자본덕이 컷다는 생각이 자연스레 들었다.
오래전 아이들의 놀이로 진행되는 서바이벌의 아이디어는 그 전부터 종종 써먹왔던 소재이긴 하지만 한국식으로 잘 풀어낸 것 같아 긍정적으로 보였고 세트나 의상 디자인 등도 앞서와 동일하게 아동의 순수한 면과 잔혹하고 냉정한 인간성과 시대상의 정반대 되는데에서 오는 괴리감과 이질감을 도드라지게 하는 극적인 효과가 있어 재미를 더한 면이 있었다.
드라마의 컨셉과 상황은 만화적이되 캐릭터들은 매우 현실적으로 설정한 것도 일본의 중2병에 트라우마가 있는 한 사람으로서 다행이었고 신파가 없진 않았지만 예상한 것 보다는 적은데다 구슬치기편에 몰아 넣은 것도 나쁘지 않았다고 본다.

재밌는 것은 오락영화가 가지는 근본적인 파라독스인데 내용은 자본주의의 폐해와 1등주의 경쟁사회이면서 결국 오징어게임은 이 내용으로 수많은 돈을 벌고 전미 1위도 달성했으니 그만큼 많은 공감을 얻어냈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또 다른 면에서 그 어떤 도덕적 가치관도 결국은 돈벌이 수단 이상은 아니라는 의미에다 극후반부 이 모든 것에 이유는 결국 '재미'였다는 결론이 나오는데 재미를 위해 희생한 수많은 생명을 생각하면 이 자체가 넷플릭스의 싸구려 가치관을 제대로 대변해주는 것 같아 마치 1번은 대자본의 넷플릭스, 456번은 그 안에서 움직이는 감독처럼 다가와 우습기도 했다.
워낙 화제가 되니 표절이니 뭐니 하며 잡음이 들리던데 크게 우려할 만한 내용은 없어 보였고 기자들의 어그로 끄는 클릭수 전쟁에 또 휘둘리는 대중들의 좆문가질 그 이상은 아닌 그저 한때 지나가는 유행 정도로 보인다.
아마 이 정도면 시즌2도 제작될꺼라 예상할 수 있는데 그저 뻔하게 돌아오지만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요즘 무한도전 9컷으로 보는 오징어게임이라는 이미지가 돌아다니던데 어찌나 싱크로율이 높던지 재밌어서 올려본다.

 

2021. 09. 25

 

 

 

 

반응형

'내가 본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페이스 잼: 새로운 시대  (0) 2021.10.14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  (0) 2021.09.28
메이헴  (0) 2021.09.24
이스케이프 큐브  (0) 2021.09.24
내가 죽기를 바라는 자들  (0) 2021.09.24

댓글